본문 바로가기
연말정산

2025 보육수당, 출산지원금, 육아휴직수당 비과세 제도 완벽 정리

by mouthy 2025. 1. 1.
반응형

2024년 1월 1일부터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과 더불어 출산지원금육아휴직급여와 관련된 세부적인 비과세 규정이 개정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변경된 비과세 제도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연말정산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개통시간 카운터

00일 00시간 00분 00초

 


1.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월 10만 원 → 20만 원

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하여 회사로부터 지급받는 급여는 2024년부터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기존 월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상향된 비과세 한도는 근로소득세에서 제외됩니다.

 

 

1) 적용 기준

  • 2024년 1월 1일 이후 지급분부터 적용됩니다.
  • 지급되는 금액이 월 2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서는 과세됩니다.
  • 지급된 달 기준으로 비과세 여부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분기별로 3개월분(30만 원)을 한 번에 지급받을 경우에도 해당 지급 월의 20만 원까지만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2) 6세 이하 판단 기준

  • 자녀의 나이는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2024년 연말정산 시: 2024년 1월 1일 기준으로 6세 이하(2018년 1월 1일 이후 출생) 자녀를 대상으로 합니다.

3) 자녀 수와의 관계

  • 자녀의 수와 관계없이 총 월 20만 원까지만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 예를 들어, 6세 이하 자녀가 2명인 경우에도 총 20만 원까지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연말정산 보육수당 예시

 

연말정산에서 보육수당 비과세 규정을 적용하는 상세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 비과세 한도는 월 20만 원으로, 지급 방식과 금액에 관계없이 적용됩니다.
  • 연말정산 시 비과세된 금액을 총급여에서 제외하고 근로소득세를 계산합니다.
  • 자녀 수와 관계없이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은 과세 대상이 됩니다.

예시 1: 한 자녀 가구 - 월별 보육수당 지급

 

■ 상황

  • 한 자녀를 둔 부모가 매월 30만 원의 보육수당을 받음.
  •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는 월 20만 원.

계산 과정

  • 매월 지급받은 금액 30만 원 중 20만 원까지만 비과세 적용.
  • 초과 금액 10만 원은 과세 소득에 포함됨.

연말정산 결과

  • 총 지급받은 보육수당: 360만 원 (30만 원 × 12개월).
  • 비과세된 금액: 240만 원 (20만 원 × 12개월).
  • 과세 대상 금액: 120만 원 (10만 원 × 12개월).

예시 2: 두 자녀 가구 - 분기별 보육수당 지급

 

 상황

  • 두 자녀를 둔 부모가 분기별로 3개월치 보육수당(60만 원)을 일괄 지급받음.
  •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는 월 20만 원, 자녀 수와 관계없이 동일.

 계산 과정

  1. 분기별 지급액 60만 원 중 매월 20만 원씩 비과세 적용.
  2. 지급된 달 기준으로 월 2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은 과세 소득에 포함됨.

 연말정산 결과

  • 총 지급받은 보육수당: 240만 원 (60만 원 × 4분기).
  • 비과세된 금액: 240만 원 (각 지급 월마다 최대 20만 원 적용).
  • 과세 대상 금액: 없음.

예시 3: 맞벌이 부부 - 동일 직장에서 보육수당 지급

 

 상황

  • 맞벌이 부부가 동일 직장에서 6세 이하 자녀 1명에 대해 각각 보육수당 20만 원씩 받음.
  •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는 수령자별로 각각 월 20만 원 적용.

 계산 과정

  1. 남편: 월 20만 원 보육수당 → 전액 비과세.
  2. 아내: 월 20만 원 보육수당 → 전액 비과세.

 연말정산 결과

  • 부부 합산 총 지급받은 보육수당: 480만 원 (남편 240만 원 + 아내 240만 원).
  • 비과세된 금액: 480만 원.
  • 과세 대상 금액: 없음.

예시 4: 한 자녀 가구 - 3개월치 보육수당을 1개월에 지급

 

 상황

  • 한 자녀를 둔 부모가 3개월치 보육수당(총 90만 원)을 특정 달에 일괄 지급받음.
  • 보육수당 비과세 한도는 월 20만 원.

 계산 과정

  1. 지급된 달 기준으로 20만 원까지만 비과세 적용.
  2. 초과 금액 70만 원은 과세 소득에 포함됨.

 연말정산 결과

  • 총 지급받은 보육수당: 90만 원.
  • 비과세된 금액: 20만 원.
  • 과세 대상 금액: 70만 원.


반응형

2. 출산지원금(출산수당)의 비과세 규정

출산지원금은 근로자 또는 그 배우자의 출산과 관련하여 회사로부터 지급받는 급여를 의미하며, 전액 비과세 소득으로 인정됩니다.

 

1) 주요 조건

  • 출산지원금은 자녀의 출생일 이후 2년 이내에 지급된 경우에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최대 2회에 걸쳐 지급된 경우에만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3회 이상 분할 지급된 경우는 비과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회사의 공통 지급규정에 따라 지급된 경우에만 비과세가 인정됩니다. 특정 근로자에게만 지급되거나 호의적으로 지급된 금액은 비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2) 2024년과 2025년 적용 기준

  • 2024.1.1.~2024.12.31. 지급된 출산지원금은 2021.1.1. 이후 출생아에 대해서도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 2025년 이후 지급분은 자녀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에 지급된 금액만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3) 예시

아래는 출산지원금(출산수당) 비과세 규정에 따른 상세 예시입니다.

예시 1: 출산일 기준 2년 이내 지급

 

상황

  • A 씨는 2024년 6월 1일에 첫 아이를 출산했습니다. 회사의 지급 규정에 따라 출산지원금 300만 원을 2024년 8월과 2025년 5월 두 차례에 걸쳐 지급받았습니다.

계산 과정

  1. 자녀 출생일(2024년 6월 1일) 기준 2년 이내 지급된 금액은 전액 비과세.
  2. 두 차례에 걸쳐 지급되었으므로 비과세 조건 충족.

결과

  • 2024년 8월 지급: 150만 원(비과세).
  • 2025년 5월 지급: 150만 원(비과세).
  • 총 지급액 300만 원 전액 비과세.

예시 2: 3회 이상 분할 지급

 

상황

  • B 씨는 2024년 3월 1일에 출산했습니다. 회사에서 출산지원금 300만 원을 3회에 나눠 지급했습니다(2024년 4월, 2024년 8월, 2025년 2월).

계산 과정

  1. 출산지원금은 최대 2회까지만 비과세로 인정.
  2. 3회 지급 중 첫 두 차례 지급분만 비과세 적용.

결과

  • 2024년 4월 지급: 100만 원(비과세).
  • 2024년 8월 지급: 100만 원(비과세).
  • 2025년 2월 지급: 100만 원(과세).
  • 비과세 금액: 200만 원, 과세 대상 금액: 100만 원.

예시 3: 2024년 출산아, 2025년 지급분

 

상황

  • C 씨는 2024년 11월 15일에 출산했습니다. 회사에서 출산지원금 200만 원을 2025년 1월과 2025년 6월 두 차례에 걸쳐 지급받았습니다.

계산 과정

  1. 2025년 이후 지급분은 출생일로부터 2년 이내 지급된 금액만 비과세.
  2. 2025년 1월과 6월 지급 모두 2년 이내 지급된 금액.

결과

  • 2025년 1월 지급: 100만 원(비과세).
  • 2025년 6월 지급: 100만 원(비과세).
  • 총 지급액 200만 원 전액 비과세.

예시 4: 출산일로부터 2년 초과 지급

 

상황

  • D 씨는 2022년 12월 1일에 출산했습니다. 회사에서 2024년 1월과 2024년 7월 두 차례로 출산지원금 200만 원을 지급받았습니다.

계산 과정

  1. 2024년 지급분 중 출산일(2022년 12월 1일)로부터 2년 초과 지급된 금액은 비과세 대상이 아님.
  2. 2022년 출산아는 2024년 기준으로 비과세 조건을 충족하지 않음.

결과

  • 2024년 1월 지급: 100만 원(과세).
  • 2024년 7월 지급: 100만 원(과세).
  • 총 지급액 200만 원 전액 과세.

예시 5: 회사 지급규정이 없는 경우

 

상황

  • E 씨는 2024년 5월 20일에 출산했습니다. 회사 대표가 개인적으로 200만 원을 출산지원금으로 지급했습니다.

계산 과정

  1. 회사의 공통 지급규정에 따른 지급이 아니므로 비과세 대상이 아님.

결과

  - 2024년 5월 지급: 200만 원(과세).

  - 총 지급액 200만 원 전액 과세.


3. 육아휴직수당 및 육아휴직급여 비과세

다음과 같은 육아와 출산 관련 금품은 비과세 소득으로 간주됩니다.

  • 고용보험법에 따라 고용보험에서 지급받는 육아휴직급여 및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이 관련 법령에 따라 지급받는 육아휴직수당(월 150만 원 이하).


4. 연말정산 시 유의사항

  1. 월급여 지급 시 비과세 소득(보육수당, 출산수당)을 제외한 금액을 기준으로 근로소득세와 4대보험료를 계산합니다.
  2. 연말정산 시 총급여액 계산 시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금액을 사용합니다.
  3. 총급여액 계산 공식: 총급여액=근로소득−비과세소득

FAQ: 자주 묻는 질문

 

Q1. 자녀보육수당을 분기별로 지급받는 경우, 비과세 적용은 어떻게 되나요?

  • 지급월을 기준으로 월 20만 원까지만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 예를 들어, 3개월치 보육수당(30만 원)을 한꺼번에 지급받아도 그 달에는 20만 원만 비과세됩니다.

Q2. 맞벌이 부부가 같은 회사에서 보육수당을 받는 경우 모두 비과세 받을 수 있나요?

  • 네, 맞벌이 부부가 각각 6세 이하 자녀와 관련하여 보육수당을 수령하면 각각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Q3. 두 회사에서 보육수당을 각각 받는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 두 회사에서 받은 보육수당의 합계 금액 중 월 20만 원까지만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Q4. 회사에서 지원받는 교육비도 비과세 대상인가요?

  • 네, 회사로부터 지원받은 금액이 자녀 보육과 관련된 금액이라면 기관의 종류와 관계없이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로 인정됩니다.

5. 마무리

2024년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보육수당 비과세 제도는 근로자의 세 부담을 덜어주고, 육아와 보육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변화입니다. 연말정산 시 이와 관련된 비과세 혜택을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